앞서 작성된 [기술이전 특허 빅데이터 분석: 내 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업, 대학, 연구소는?]의 후속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술이전 후보기업별로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특히, 대학교 산학합력단이나 연구소 TLO(기술이전 전담조직) 종사자분들, 우리 회사가 보유한 특허 기술 중 어떤 특허가 기술이전에 성공할 수 있을지 그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술이전을 위한 특허 데이터 분석의 시각화 자료가 필요하다면, 디시전브릿지를 활용해보는 것도 매우 유용합니다.
앞선 분석글에서는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술이전 후보기업을 도출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기술이전 후보기업에 어떠한 보유 기술을 이전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출처: keywert 데이터 가공
기술이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 후보 기업의 보유 특허를 기반으로 IP 포트폴리오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 보유 기업의 IP 포트폴리오와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협상 시 우위에 서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산대학교 보유특허의 강점 기술분야인 재료 성질 분석 기술(G01N)에 대하여 세부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IP 포트폴리오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또한, 기술이전 후보기업으로는 빅데이터 분석 제1탄에서 2개의 기준특허에 대한 다출원인으로 도출된 동우화인켐을 선정하여 분석해보겠습니다.
1) 부산대학교 IP 포트폴리오 분석
부산대학교의 재료 성질 분석 기술 분야에 포함되는 118건의 특허를 기초로, 세부 기술에 대한 SNA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SNA (Social Network Anaysis) 분석은 개인과 집단들 간의 관계를 노드와 링크로 모델링하여 위상구조와 확산 및 진화 과정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입니다.
출처: keywert 데이터 가공
위의 표에서 EC(아이겐벡터 중심성, Eigenvector Centrality) 값은 SNA 네트워크 안에서 각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의 중요성을 기반으로 각 노드의 네트워크 상 영향력을 수치화한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인싸력을 수치화했다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인싸중의 인싸일수록 그 수치가 높게 나타나게 됩니다.
SNA 분석 결과, 특유의 방법에 의한 재료의 조사 또는 분석 기술(G01N-033)이 가장 중요한 세부 기술로 도출되었으며, 그 외에 광학적 수단을 이용하는 기술(G01N-021) 등이 중요 세부 기술요소로 파악되었습니다.
2) 동우화인켐 IP 포트폴리오 분석
다음으로, 기술이전 후보기업인 동우화인켐의 재료 성질 분석 기술 분야에 포함되는 137건의 특허를 기초로, 세부 기술에 대한 SNA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출처: keywert 데이터 가공
그 결과, 부산대학교의 세부기술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부산대에서 가장 중요한 세부 기술로 도출된 특유의 방법에 의한 재료의 조사 또는 분석 기술 보다는 광학적 수단을 이용하는 기술이 더 중요한 세부기술로 확인되었으며, 부산대의 중요 세부 기술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와 같은 세부 기술이 중요 세부 기술임이 파악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부산대와 동우 화인켐의 IP 포트폴리오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출처: keywert 데이터 가공
출처: keywert 데이터 가공
먼저, 공통 기술군 중 Top 5를 보면, 부산대의 Top 5 중요 기술 요소에 대한 동우 화인켐의 중요 비중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산대의 2번째 중요 세부 기술 요소인 광학적 수단 기술이 동우화인켐에서는 가장 중요한 세부 기술 요소
2) 부산대의 4번째 중요 기술 요소인 전기적 또는 자기적 수단을 통한 재료 조사/분석은 부산대보다 동우화인켐에서 중요도 수치가 더 높은 세부 기술 요소
3) 효소, 핵산 또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측정 또는 시험방법 기술은 부산대에서는 높은 중요도를 갖는 기술이나, 동우화인켐에서는 다소 중요도가 낮음
4) 부산대의 차별 기술군들은 동우화인켐에서 연구 개발하지 않은 세부 기술 요소
이때까지의 분석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부산대와 동우화인켐의 보유 특허를 기초로 재료 성질 분석 기술(G01N)에 대한 세부적인 포트폴리오를 도출했고, 이를 비교하여 두 기업이 공통으로 연구개발하는 공통 기술군과 독자적으로 연구개발하는 차별 기술군들을 도출했습니다.
기술이전 대상 특허 선정을 위해 기술군을 먼저 파악해봐야 하는데요, 어떤 기준으로 기술군을 특정할 수 있을까요?
가장 전략적인 방법은 아래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기술군의 기술이전 대상 특허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① 부산대와 동우 화인켐이 공통으로 연구개발을 하는 기술군
② 부산대가 동우 화인켐보다 중요하게 연구개발중인 기술군
③ ①과 ②의 조건을 만족하는 기술군 중, 부산대의 차별 기술군과 연결성을 갖는 기술군
위의 ①, ②의 조건을 만족하는 기술군으로 아래와 같이 3개의 기술군을 추렸습니다.
출처: keywert 데이터 가공
특히 주목할 점은, 효소, 핵산 또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측정 또는 시험방법(C12Q-001)이 부산대 차별 기술군인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수산화물로된 촉매(B01J-023)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고, 이게 곧 ③의 조건을 만족하며 차별 기술군과 연결성을 갖는 기술군으로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즉, 두 기업의 공통기술군(C12Q-001)과 부산대 차별 기술군(B01J-023)의 연결성을 확인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두 기술군의 결합기술이 기술이전 대상이 될 수 있는 기술군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keywert 데이터 가공
특히, 동우화인켐의 C12Q-001에 속하는 특허들을 찾아보면 모두 감지 대상 물질(땀, 눈물, 혈액)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와 관련된 기술들입니다.
여기서, 위에서 확인한 기술이전 대상 기술군인 C12Q-001과 B01J-023의 결합 기술에 포함되는 부산대의 보유 특허를 키워트에서 찾아봤습니다.
출처: keywert
KR 2015-018874 A 특허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동우화인켐의 주요 기술인 “바이오 센서” 관련 특허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기술 내용을 보면, 세척과정 없이 하나의 용액만을 사용하여 표적물질을 고감도로 탐지하는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으로, 전극과 촉매 표지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자전달 매개체의 전자전달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표적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우수한 표적물질 검출 효과를 나타내는 바이오 센서 기술임을 알 수 있습니다.
기술이전이 성사된다면 부산대와 동우화인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특허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같이, 부산대와 동우화인켐의 IP 포트폴리오 비교 방법론을 통해, 기술이전 가능성이 높은 대상 특허를 추출해 보았습니다.
과연 해당 특허가 기술이전에 성공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부산대의 KR 2015-018874 A 특허 기술은 동우화인켐의 C12Q-001의 바이오 센서와 기술적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부산대는 해당 특허를 단일로 동우 화인켐에 기술이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나아가서는, 관련 특허를 그룹핑하여 동우화인켐에 기술이전을 제안할 수도 있겠습니다.
기술이전 대상 특허를 기초로 관련 특허를 그룹핑 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보유 특허를 대상으로 분석한 SNA 네트워크 상에 연결성을 기초로 분석하거나, 보유 특허 기반의 문헌 유사도를 통해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보유 특허의 IP 포트폴리오와 기술이전 후보기업의 IP 포트폴리오를 비교하고, 공통된 연구 기술 분야를 기초로 차별화된 구성 요소가 있는 특허를 파악함으로써, 기술이전 후보기업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 특허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기술이전 대상 특허를 기초로 기술이전할 특허를 그룹핑하는 전략까지 이용한다면 보다 유연한 기술이전을 진행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