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워트인텔리전스입니다.
요즘 마트나 편의점에서 '제로'라는 단어를 자주 볼 수 있죠.
건강과 체중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로칼로리 음료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커피, 에너지드링크, 주류까지 '제로' 라는 이름이 붙은 제품들이 빠르게 주류로 자리잡고 있는데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로음료의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와 특허 출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글로벌 기업들은 발빠르게 특허를 확보하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는데요,
오늘은 제로음료에 대한 특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로음료 특허 트렌드 살펴보기
설탕 없이 단맛을 내는 핵심기술, 대체당 특허로 알아보는 제로음료 시장 트렌드
제로음료를 가능하게 만드는 핵심은 바로 '대체당'입니다.
설탕 대신 단맛을 내면서도 칼로리가 낮은 감미료 역할을 '대체당'이 해주기 때문인데요,
우선 대체당 관련 특허의 트렌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keywert 테크토픽 그래프엔진>
<출처 : keywert 테크토픽 그래프엔진>
대체당 관련 특허는 2000년부터 꾸준히 늘어 2017년에 한차례 크게 급등했고,
식품처리, 향신료 처리, 비알코올 음료 분야에서 대체당 관련 기술 출원이 활발해졌습니다.
2023년 특허를 기준으로 보면 제로슈거와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를 반영해
다이어트식품 처리·향신료 처리·비알코올음료 처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당 관련 특허를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익숙한 기업들의 이름이 눈에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keywert 그래프엔진>
대체당 관련 특허 출원에서는 국내 대표 기업들뿐만 아니라,
글로벌 대형 식품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인 CJ제일제당, 삼양이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에서는 코카콜라 뿐 아니라
독일에 본사를 둔 유럽 최대의 설탕 생산기업 Südzucker(쥐드주커)와
프랑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식품 바이오 소재 기업 Roquette Freres(로케트 프레르),
미국 기반의 글로벌 농식품·원자재 거대기업인 Cargill(카길)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보입니다.
즉, 음료 제조기업 뿐 아니라 원재료 공급 대기업들까지 제로슈거 트렌드에 뛰어들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의외로 몇몇 기업의 특허출원 건수가 많지 않다고 느껴지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이번 분석은 대체당을 활용한 식품(특히 음료)의 특허 위주로 살펴볼 예정이기 때문에
제작을 위한 기기 및 설비, 패키징 기술 등의 특허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코카콜라 제로음료 특허
수많은 사람을 놀라게 한 제로콜라로 제로열풍을 이끈 선구자
제로음료 트렌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인공은 역시 '제로콜라'입니다.
코카콜라 제로는 출시 초기에는 호불호가 갈리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일반 콜라맛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평가를 받으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단순한 한 제품을 넘어 하나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볼 수 있죠.
코카콜라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다양한 제로 제품군을 확장했으며,
이 과정에서 맛 품질을 높이기 위한 감미료 기술 개발과 특허 출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이 중 몇가지 특허를 소개해드릴게요!
■ 천연 고효능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 조성물 관련 특허KR 1374346 B1
keywert에서는 smart5를 기반으로 비즈니스적인 데이터를 추가한 keyvalue 등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keyvalue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확인해주세요.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특허는 keyvalue S등급을 받은 특허인데요,
바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중에서도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의 맛을 개선하는 것에 대한 특허,
KR 1374346 B1(천연 고효능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 조성물 관련 특허)입니다.
<출처 : KR 1374346 B1 keywert 상세보기>
<출처 : KR 1374346 B1 keywert 상세보기>
코카콜라는 순도 95% 이상의 리바우디오사이드 A와 에리트리톨을 1:4~1:8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 감미료들이 설탕에 비해 맛이 부자연스럽거나, 단맛이 너무 늦게 나타나거나, 오래 잔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했습니다.
이 조합은 단독 감미료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음료나 디저트 등 다른 식품에 섞어서도 활용이 가능하죠.
또한 이 특허는 패밀리 특허만 672건에 달하며, 다른 특허들로부터 인용된 사례(피인용문헌)도 29건이나 됩니다.
피인용 건수는 해당 특허가 다른 기술 개발에 얼마나 참고되었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해당 특허가 영향력있는 주요한 특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코카콜라 특허가 궁금하다면? 키워트에서 직접 보기 : [클릭]
■ 희소당을 포함하는 음료EP 2993990 A1
앞서 소개한 특허는 코카콜라가 적극적으로 확보한 핵심기술 중 하나였는데요, 다음은 조금 다른 사례입니다.
바로, 소송에 의해 최종적으로 취소된 특허입니다.
<출처 : EP 2993990 B1, keywert 상세보기>
EP 2993990 A1(Beverages containing rare sugars) 특허는 D-psicos(디-프시코스) 같은 당류와 고효능 감미료를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단맛을 자연스럽게 강화하고, 칼로리를 낮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출처 : EP 2993990 A1, keywert 상태정보보기>
키워트 상태정보에서는 소송에 관련한 히스토리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간략히 알려드리면
해당 특허를 출원해 등록까지 받았지만, 이후 소송이 제기되면서 특허 유효성에 대한 심판이 진행되었습니다.
소송 과정에서 기존 발명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 특허가 특별한 기술적 차별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고,
결국 '진보성 결여'를 이유로 특허 무효(취소)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특허 등록에는 성공했지만, 소송에서 패하면서 해당 특허를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취소된 이번 특허가 궁금하다면? 키워트에서 자세히 보기 [클릭]
CJ 제일제당의 제로음료 관련 특허 알아보기
제로슈거 시장을 겨냥한 알룰로스 특허 전략을 중심으로
가장 높은 출원건수를 기록한 CJ 제일제당도 빠질 수 없죠!
제로슈거 시장에 발맞춰, 천연당 알룰로스 특허를 출원하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춰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럼 CJ 제일제당의 대체당 관련 특허를 알아보겠습니다.
■ D-결정을 제조하는 방법KR 2011-0108185 A
이번에 소개할 특허는 keyvalue에서 S등급을 받은 중요한 특허입니다.
바로 KR 2011-0108185 A(D-코스 결정을 제조하는 방법)인데요, keywert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KR 2011-0108185 A, keywert 상세보기>
<출처 : KR 2011-0108185 A, keywert 도면보기>
D-사이코스 용약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고,
고순도의 정제된 D-사이코스를 결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기존 공정보다 불순물 함량이 적고 품질이 높은 알룰로스를 제조하는 것은
나아가서 제로음료나 저칼로리 식품 제조에서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로슈거 시장이 확대되는 흐름 속에서, CJ 제일제당이 알룰로스를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특허라고 볼 수 있습니다.
*키워트 상세보기에서 직접 확인하실수도 있어요 [키워트에서 바로보기]
■ 알룰로스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룰로스의 제조방법KR 2389709 B1
다음으로는 대체당으로 주목받고 있는 '알룰로스'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를 소개해드릴게요.
바로 KR 2389709 B1(알룰로스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룰로스의 제조방법) 특허입니다.
<출처 : KR 2389709 B1, keywert 상세보기>
<출처 : KR 2389709 B1, keywert 도면보기>
이 특허는 알룰로스 제조 과정 중 생성되는 다양한 이당류 혼합물에서,
필요한 성분만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정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입니다.
첫번째 이미지(도면4)에서는 알룰로스의 구조와 탄소 넘버링을 상세히 보여주고,
두번째 이미지(도면3)에서는 D1(알룰로스 이당류)의 입체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나머지 2개의 이미지(도면1,2)에서 알룰로스를 만든 과정에서 생긴 다양한 당 성분들을 분석하고
그 중 원하는 성분을 골라내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즉, 이 특허는 알룰로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성분만 선별해 고순도로 분리해내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순도높은 알룰로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저칼로리 디저트, 건강식 베이커리, 제로칼로리 음료 등 다양한 곳에서 맛과 건강을 동시에 챙길 수 있을것이라 기대 됩니다.
*키워트 상세보기에서 직접 확인하실수도 있어요 [클릭]
제로슈거 전쟁, 기업별 특허전략을 읽다
기술과 상표권 위주의 영업기밀 보호 전략, 코카콜라 vs 기본에 충실하며 더욱 넓은 시장확대를 노리는 CJ 제일제당
이번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것처럼, 제로음료 시장을 둘러싼 특허 전략은 기업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는 음료 자체보다 제조 기술 관련 특허가 더 많은 편인데요,
제품 조성 자체를 특허로 공개하기보다는 제조 기술과 상표권을 통해 시장 지위를 지키려는 전략을 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닥터페퍼와 ZERO 명칭을 두고 13년간 분쟁을 하며 결국 무승부로 끝났던 사례도 있었죠!
이는 음료 레시피나 배합 비율 같은 민감한 정보가 특허 공개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CJ 제일제당은 알룰로스 특허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듯이,
고순도 정제 및 제조 공정 개선을 통한 원료 자체의 품질 향상에도 큰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는 제로음료 뿐 아니라, 저칼로리 디저트, 건강식 베이커리 등 다양한 제품군 확장까지 고려한 움직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제로슈거 시장이 성장할수록, 이처럼 기업별로 강점을 살려 시장을 선점하려는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저칼로리 식품으로 건강과 맛을 동시에 챙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봅니다^^
다음에도 흥미로운 주제와 특허로 찾아오겠습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 되세요!
⭐⭐⭐⭐⭐오늘 인사이트 게시글은 흥미로우셨나요?
※ 본 게시글에 사용된 AI 기반 글로벌 특허 검색·분석 서비스 ‘키워트’를 무료체험 해보세요! 👉🏻CLICK 👈🏻
※ 워트인텔리전스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더 알아보세요! 👉🏻CLI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