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5

‘날개 없는 선풍기’의 탄생,다이슨의 특허 비밀과 그 뒤에 숨은 기술들?

다이슨
날개없는선풍기
도시바

 

여름을 대비해 선풍기나 냉방 제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면서 날개 없는 선풍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날개 없는 선풍기는 처음 등장했을 때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어요. "이게 진짜 선풍기 맞아?" 하고 말이죠.
소음 걱정 없이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는 이 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며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기존의 선풍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의 이 날개 없는 선풍기,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요?

 


출처 : 다이슨 홈페이지

 

위의 이미지, 보이시죠? 바로 날개 없는 선풍기입니다.
그런데 이 모양을 보면, 뭔가 다른 것들이 떠오르시지는 않나요?

 


출처 : 다이슨 홈페이지

 

바로 다이슨 에어랩입니다. 이 드라이기는 여성들 사이에서 "꿈의 드라이기"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를 끌었고,
심지어 에어랩을 모방한 제품들이 쏟아져 나올 만큼 대세가 되었는데요, 이 에어랩과 날개 없는는 선풍기의 모양이 정말 닮지 않았나요?
그 이유는 바로 다이슨이 날개 없는 선풍기를 최초로 출시했기 때문이에요!
다이슨의 날개 없는 선풍기, 그리고 그 뒤에 숨겨진 기술에 대해 조금 더 궁금해지지 않으신가요?

 

키리와 함께 선풍기의 역사부터 다이슨이 날개 없는 선풍기에 대해 가지고 있는 특허는 무엇일지,
그리고 다이슨의 다른 주목할 만한 특허들은 없을지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우리나라 최초의 선풍기는 누가 개발 했을까?
 

최초의 동력식 선풍기는 1832년에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사블루코프라는 러시아의 군인 겸 발명가가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광산에서 공기 순환을 위해 선풍기를 만들었고, 그때는 이 장치의 이름도 ‘에어펌프’였다고 해요.
하지만 이 선풍기는 주로 제분소나 설탕 공장에 설치되었고 공기 순환을 위한 용도로 더 많이 사용되었답니다.

 

그렇다면 한국에서는 언제 최초로 선풍기가 등장했을까요? 1910년대 일제강점기 시절에 이미 선풍기가 도입되었고
그 후 1960년 4월,금성사(현 LG전자)’에서 국산 1호 선풍기가 출시되었답니다.

 

 

전력 공급이 어렵던 1970년대 이전에는 선풍기조차도 전기를 소비하는 기기로 규제 대상에도 올랐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20세기 중반을 지나 선풍기는 점점 더 많은 가정에서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되었고
이제는 어디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필수 가전제품이 되었습니다.

 

최초의 무풍 선풍기 특허도 다이슨이 출원했을까?
 

다이슨 하면 날개 없는 선풍기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요,
사실 다이슨이 최초로 날개 없는 선풍기를 상품화한 건 맞지만 그 특허를 처음 출원한 곳은 다이슨이 아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전에 이미 다른 회사에서 날개 없는 선풍기의 아이디어를 처음 선보였답니다.

 


출처 : End of an era for electronics giant Toshiba -Newsday Zimbabwe

 

다이슨이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를 출원한 건 2007년으로
이름만 들으면 생소할 수 있지만, 사실 1980년대 초반에 날개 없는 선풍기의 특허를 출원했었던 기업인
현재의 도시바 주식회사인 도쿄 “시바우라전기주식회사가 최초의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를 출원했었답니다.

 

그때의 도면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면, 현재 다이슨의 무풍 선풍기와 아주 비슷한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럼 왜 다이슨이 날개 없는 선풍기의 대명사가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최초로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를 출원한 것은 도쿄의 “시바우라전기주식회사”이지만,
특허는 결국 등록되지 않았고, 제품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출처 :<좌. 도쿄 시바우라전기주식회사 JPPAJ 1981-167897 A > <우.다이슨 KR 1320980 B1>

 

1980년대 도쿄 시바우라전기주식회사가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를 출원했지만 아쉽게도 특허 등록을 받지는 않았고,
그렇기 때문에 해당 기술은 보호받지 못하게 되었죠.
특허 등록을 받지 않은 명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1980년대라는 시대적 특성상 현대처럼 가정에 선풍기가 많이 보급되기 전이고,
당시에는 기존의 날개 있는 선풍기가 훨씬 더 대중적이기 때문에 시장 반응이 부족해서는 아니었을까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이슨은 2008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날개 없는 선풍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지만 이 역시 처음에는 거절당했습니다!

 

▶ 송풍기(a fan) 출처 : KR 1320980 B1 상세보기


출처 : KR 1320980 B1 상세보기

 

그렇다고 포기한 다이슨이 아니죠!
다이슨은 영국 특허를 우선권으로 삼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특허를 등록하며
결국 날개 없는 선풍기의 혁신적인 기술을 강력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이슨이 거절에도 포기하지 않고 보정서를 제출하여 결국 등록까지 이뤄낸 이력은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문헌 상세 보기 > 행정 정보 보기 > 출원 이력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이 자세히 알아볼까요?

 


출처 : KR 1320980 B1 행정정보보기

 

해당 이력정보를 확인해 보면 다이슨의 특허는 최초로 2012.03.12 의견 제출 통지서를 받아, 
무려 두 번의 보정서를 제출하여 등록까지 이뤄낸 힘겨운 여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특허가 거절됐던 이유 및 어떤 방식으로 보정하여 특허 등록까지 이뤄냈는지 그 이력은
행정 정보 보기 내 상단의 ‘출원. 심사 정보’ 탭 클릭 시 한국문헌 기준 바로 한국 특허청 사이트로 연결이 되어 확인할 수 있다는 점!
게다가 연결되는 사이트의 ‘통합행정 정보’ 탭에서 상세 문서까지 확인할 수 있답니다.

 


출처 : KR 1320980 B1 발송번호 9-5-2012-041568654 의견 제출 통지서 일부

키리가 살짝 살펴본 결과, 최초의 거절 이유에서 특허법 제42조제4항 제 2호특허법 제29조제2항에 따라 거절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는데요,
이처럼 ‘행정 정보 보기’를 통해 해당 특허의 이력뿐만 아니라, 문서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행정 정보 보기를 통해, 해당 특허의 출원 이력 및 거절 사유, 보정 사유도 확인할 수 있다는 건 알겠는데
실제로 등록 시 어떤 식으로 반영됐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keywert"의 ‘차이 보기’기능을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keywert 차이 보기 기능이란, 나열된 2개의 특허 내용의 차이점과 유사도에 대해 분석하여 보기 쉽게 제공해 드리는 기능입니다.

차이 보기 기능을 통해 특허 등록 과정에서 수정된 청구항의 표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허 등록 과정에서 수정된 청구항의 표현은 최종 특허 등록에 영향을 준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수정된 청구항의 파악을 통해 출원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요,
다이슨의 특허가 어떤 방식으로 청구항을 수정하여 최종 등록을 이뤄냈는지 상세히 알아볼까요?

 

 


출처 : KR 1320980 B1 청구범위 차이보기

 

키리가 앞서 살펴봤을 때 청구항 전항에 특허법 제 29조제2항에 의해 거절 사유인 것으로 미리 확인하여 '청구범위 차이 보기'를 확인해봤는데요,
최종적으로 해당 문헌은 공개 문헌과 등록 문헌 사이의 일치도가 61% , 그중 전체 청구항 수가 19개에서 18개로 줄어들고,
독립항이 2개에서 1개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견제출통지서의 거절 내용이 실제 특허 등록 시 청구항이 어떻게 수정되었는지를
차이보기 내 '변경추척모드'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KR 1320980 B1 발송번호 9-5-2012-041568654 의견 제출 통지서 일부


출처: KR 1320980 B1 발송번호 9-5-2012-041568654 의견 제출 통지서 일부

 

차이보기내 "변경추척모드"전에 우선 의견제출통지서의 구체적 거절 이유를 살펴보면
[청구항2항],[청구항10항],[청구항 14] 에 수정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2-2.[청구항 2 내지 10] 발명에 대한 용이발명 여부에서 청구항 2항과 청구항 10항은 인용발명 1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고,
2-4. [청구항 14] 발명에 대한 용이발명 여부에서 청구항 14항은 인용발명 1항 또는 2항을 인용하고 있다고 기재되어있는데요
해당 내용이 실제로 반영 되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출처: KR 1320980 B1 차이보기 '변경 추적 모드'

 

차이보기 내 '변경추척모드'를 통해 의견제출통지서 구체적 거절 이유 반영 여부 및
실제 공개에서 등록 당시 수정이 된 부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내용을 살펴보면 ,
최초의 의견제출통지서에서 청구항2항, 10항이 인용발명 1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있었고
청구항 14항이 인용발명 1항 또는 2항을 인용하고 있다고 기재되어 있었던게 기억나시나요?

 

[청구항 10]의 경우
기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는 청구항이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로,
[청구항 14]를 보면
기존 "제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 "라는 청구항이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로 내용이 수정 되어
최초의 의견제출통지서 내용이 특허 등록 시 수정. 반영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차이보기 "변경추척모드"를 통해 특허 등록 과정에서 수정된 청구항의 표현을 쉽게 파악해보세요!


출처 : 에어 멀티플라리어(Air Multiplier)기술 원리

 

 

다이슨의 날개 없는 선풍기는 에어 멀티플라리어(Air Multiplier) 기술 덕분에 날개 없이도 강력한 바람을 만들어내는데요,
사실 선풍기 내부에는 바람을 만들어내는 특별한 날개가 숨어 있다고 합니다.
원통형 기둥에는 지름 1mm 크기의 공기구멍 수십 개가 뚫려 있고, 이곳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데요,
나선형 모양의 날개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기구멍을 통해 공기를 빨아들인 뒤 기둥 상층의 원형 고리 부분에 바람을 세게 밀어 넣어
공기의 흐름을 속도를 몇십 배 더 빠르게 하고 강력한 바람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하네요!

 

 


출처 :KR 1320980 B1 keyLens

 


출처 : KR 1320980 B1 상세보기

 

keyLens를 통해 도면 3 내 부호 설명 전체보기를 살펴보면 기둥 도면에 ‘모터’, ‘모터 하우징’이라는 부호의 설명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부호를 상세 보기에서 찾기를 클릭하면 상세 보기 내 발명의 설명에서 노즐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의 베이스가 내부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KR 1320980 B1 keyValue 등급

 

또한 해당 특허를 살펴보면 keyValue 등급이 S 등급인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keyValue 등급이란, 한국발명진흥회의 SMART5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 맞춰 keywert가 고도화한 평가 등급으로
해당 특허가 얼마나 중요하고 영향력이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keyValue 상세 보고서를 보면 권리성 등급, 활용성 등급에서 모두 가장 높은 등급인 S 등급을 받고
기술등급에서도 A+등급을 받을 수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해당 특허의 활용성, 기술성, 권리성이 정말 뛰어나다는 걸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겠죠!

 

다이슨에서 날개 없는 선풍기 관련해서 해당 특허 말고 다른 특허를 더 가지고 있지 궁금하시지 않으신가요?
복잡한 검색을 할 필요 없이 keywert의 AI 요약 copilot 기능을 통해 복잡한 문헌을 일일이 찾아볼 필요 없이 뚝딱 찾아볼 수 있습니다.

 


출처 : KR 1320980 B1 AI 요약 Copilt

 

 

AI 요약 copilot이 특허를 요약한 결과,
“기존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는 개선된 팬 조립체를 제공한다"라는 <목적>과,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팬 조립체는 노즐 및 노즐을 통해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없는 팬 조립체를 포함한다.
노즐은 내부 통로 및 내부 통로로부터 공기 유동을 수용하기 위한 입부를 포함한다.
입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입이 공기 유동을 지향시키도록 배치되는 코 안다 표면.
팬은 블레이드형 팬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류 및 냉각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배열, 즉 블레이드형 팬에 의해 공기 흐름이 만들어지는 배열을
제공한다."
라는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AI 요약 copilot ‘다른 목적 탐색’을 통해 동일한 솔루션을 탐색할 수 있을까요?

 

 

▶송풍기 조립체
출처 : JP 6143031 B2 상세보기


출처 : JP 6143031 B2 keyLens

 

AI 요약 copilot이 찾아준 다이슨이 보유하고 있는 또 다른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입니다.
AI 요약 copilot 덕분에 다이슨이 보유한 또 다른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
복잡한 검색식을 작성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다이슨의 다양한 특허들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정말 편리하지 않나요?
이렇듯 AI 요약 copilot을 통해 복잡한 검색식 작성 없이 손쉽게 다이슨이 보유하고 있는 또 다른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까지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AI 요약 copilot을 사용하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혹시 다이슨이 날개 없는 선풍기 기술을 활용해 공기청정기, 가습기, 헤어드라이기까지 출시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정말 재밌는 점은, 다이슨에서 나온 이 모든 제품들이 디자인이 거의 비슷하다는 거예요.
날개 없는 선풍기의 핵심 기술이 적용되다 보니 각기 다른 제품이지만 디자인적으로는 아주 유사한 점이 많답니다.
그럼 이 기술들이 어떻게 다른 제품들에 적용됐는지, 다이슨이 보유한 다른 특허들을 한 번 살펴볼까요?

 

 

▶Humidifier (가습기)
출처 : US D746425 S1 상세보기


출처 : US D746425 S1 상세보기

 

특허를 한 번 살펴보면, "어? 이거, 날개 없는 선풍기랑 너무 비슷한데?" 하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거예요.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해당 특허는 어디서 찾아볼 수 있었을까요?
바로 특허 문헌 속 숨겨진 정보, 패밀리 문헌과 해당 패밀리 문헌의 인용 피인용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KR 1320980 B1의 패밀리 문헌인 US 8764412 B2 문헌의 인용, 피인용 문헌 정보를 살펴보면 해당 문헌을 찾아 볼 수 있어요!

 

인용문헌과 피인용 문헌의 관계 파악으로 숨겨진 특허 기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데요,
인용문헌과 피인용 문헌이란,
특허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어떤 기술이 선행되었고 후속 특허들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인용문헌이란, 등록받고자 하는 특허기술과 유사한 선행기술에 대한 정보이고,
피인용 문헌이란, 특허가 공개된 후 해당 문헌을 인용문헌으로 사용하는 다른 특허문헌으로 특정 특허의 내용에 뒤따르는 후행 특허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B 특허가 A 특허를 인용문헌으로 기재하는 경우, A 특허는 B 특허의 ‘인용문헌’이며 B 특허는 A 특허의 피인용 문헌’ 이 되는 거죠!
쉽게 말하면, "누가 누구를 인용했는지"를 보면, 특허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한눈에 알 수 있는 셈이죠.
그리고 이 모든 정보는
keywert의 문헌 상세 보기 화면의 ‘인용. 피인용’탭에서 특허와 이 특허(논문)으로 나누어서 인용. 피인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US 8764412 B2 U 상세보기 특허 피인용 정보


출처 : US D746425 S1 상세보기 특허 인용 정보

 

두 특허는 서로 다른 기술처럼 보이지만,

 

날개 없는 선풍기 기술이었던 KR 1320980 B1 문헌 패밀리 문헌인 US 8764412 B2
‘피인용 문헌’ 탭을 살펴보면 가습기 문헌인 Humidifying apparatus (가습기) US D746425 S1 문헌을 확인할 수 있고,
반대로 가습기 문헌의 '인용 문헌' 탭에서 날개 없는 선풍기 기술의 US 8764412 B2 문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특허 문헌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서로 다른 기술 간의 인용, 피인용 관계를 통해 기술의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특허 기술은 단순한 기술 설명을 넘어 다양한 특허 문헌과 연결되어 혁신의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답니다.
이 모든 연결고리는 keywert에서 제공하는 ‘인용. 피인용’ 탭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더 많은 특허의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겠죠?

 

마치며

오늘은 선풍기의 역사부터 최초로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를 출원했던 기업과 다이슨의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
그리고 다이슨이 보유한 다른 기술 특허까지 살펴봤는데요.
다이슨의 날개 없는 선풍기 기술다양한 특허 문헌과 연결되어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가고 있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죠!

 

또한, 도쿄 시바우라전기주식회사가 최초로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를 출원했지만 최종 등록되지 않았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 사례를 통해 특허 등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죠.
단순히 출원되는 것만으로는 기술을 보호할 수 없으며,

 

최종 등록을 통해서만 법적 권리를 확보하고 혁신을 보호할 수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이야기가 가장 인상 깊으셨나요?
저희는 이번 이야기를 통해 특허가 단순한 기술 설명을 넘어서, 미래 기술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임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되었어요.
keywert를 통해 더 많은 특허의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보는 것도 정말 재미있겠죠? 
다음에는 더 재미있고 유익한 특허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오늘 인사이트 게시글은 흥미로우셨나요?

※ 본 게시글에 사용된 AI 기반 글로벌 특허 검색·분석 서비스 ‘키워트’를 무료체험 해보세요! 👉🏻CLICK 👈🏻

※ 워트인텔리전스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더 알아보세요! 👉🏻CLICK 👈🏻

 




안내사항

• 본 콘텐츠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습니다.
• 본 콘텐츠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동의 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어떠한 형태로든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 본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주)워트인텔리전스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로, 당사는 그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에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당사 연구원의 분석이 반영되었습니다. 

[출처 표기 예시]
보도자료 : IP 리걸테크기업 '워트인텔리전스'에 따르면
기타발행물 : '워트인텔리전스' 혹은 해당 게시물 링크

전문가 문의

여러분의 혁신을 위한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추천해 드립니다.

뉴스레터 구독

매월 1회 IP 인사이트를 모아
뉴스레터로 발송해 드리고 있습니다.
가장 빠르게 Wert Intelligence의
분석 자료를 받아보세요.

타이틀

문의하기 입력 폼
이름
업무용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회사 또는 단체명
회사 구분
직급
[보기]